살아가는 이야기/농사와 사는 이야기

뇌 반란, 전자책 적응기

모두 빛 2017. 1. 8. 08:59

전자책을 마련했다. 이제는 책이 무겁기도 하고 집안에 쌓아두는 게 버겁다. 스마트 폰 사용에 익숙해서일까. 무게를 가진 종이책보다 손가락 터치로 책장이 술술 넘어가는 기기가 끌린다.

 

집안에 책이 쌓이는 것도 이제 적잖은 부담이다. 나는 책을 많이 보는 편이다. 그러다보니 금방 책장이 그득하다. 책을 다보고는 중고서적으로 다시 파는 것도 예전과 다르다. 번거롭고 그리 돈이 되지 않는다.

 

이런저런 문제의식을 갖고 있는 때에 친구 권유로 전자책을 읽을 수 있는 기기를 사게 되었다. 전자책 단말기(e-book reader)는 종류가 많은 데 내가 산 건 알라딘이나 예스24에서 제공하는 크레마 카르타.

 

그런데 적응이 쉽지 않다. 친구가 손수 사주고 기본 프로그램이랑 책도 여러 권 넣어주었지만 여전히 어렵다.

 

조금씩 적응할수록 좋은 점이 나온 긴 한다. 앞에서 말한 대로 책 여러 권을 크레마에 넣어서 가볍게 들고 다닐 수 있다. 스마트폰이나 노트북과 달리 눈이 부시지 않고 인터넷 환경이 없어도 언제든 꺼내서 읽을 수 있다.

 

하지만 잘 몰라서 또는 기기 적응이 안 되어 겪는 어려움이 많다. 전자책 단말기는 통일 되어 있지 않다. 크레마는 알라딘과 예스24 중심이다. 교보문고는 샘이라는 기기를, 아마존은 킨들이라는 기기를 사용해야 한다.

 

그리고 우리나라는 전자책이 그리 활발하지 않다. 내가 보고 싶은 책들을 검색해보면 전자책으로 나온 것들이 많지 않다. 아직까지 우리나라는 소설류가 많다. 나는 소설을 잘 읽지 않는다. 인문학이나 자연과학을 좋아한다. 알라딘이나 예스24와 협약으로 전자책을 제공하는 전자 도서관이 있지만 이를 이용하자면 소속(대학이나 직장)이 분명해야한다. 나한테는 그림의 떡이다.

 

그래서 친구가 추천하는 건 자신이 읽고 싶은 파일을 잘 골라 이를 크레마에 넣고 읽으란다. 우리가 얻을 수 있는 자료들은 주로 hwp 또는 txt 파일 그리고 pdf화일.

 

그런데 전자북은 화일포멧이 기본적으로 epub 화일(확장자가 epub). 이 화일의 특징과 장점은 아주 많단다. 눈이 부시지 않는 종이 질감을 내는 점은 물론이고 자형(font) 또는 크기(size)를 자유롭게 할 수 있다. 그런데 그저 되지 않는다. txt, pdf, hwpepub 포멧으로 바꾸려면 calibre 프로그램을 사용해야 한다.

 

막상 시도해보니 이게 어렵다. 어렵사리 프로그램을 깔았지만 사용법이 쉽지 않다. 끙끙 대면서 노트북으로 간신히 하나 했더니 이번에는 크레마로 옮기는 게 또 안 된다. 수십 번을 이래저래 시도하는 데 머리가 지근지근하다. 갈 길이 멀다

'살아가는 이야기 > 농사와 사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규모는 줄이고, 정성은 더 많이  (0) 2017.02.21
처조카네 방문  (0) 2017.01.12
따스한 날, 호박 구덩이 거름내기  (0) 2017.01.03
공부할 게 참 많다  (0) 2016.12.26
아들 덕?  (0) 2016.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