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가는 이야기/농사와 사는 이야기

[스크랩] 벼의 발아와 모 생장

모두 빛 2013. 6. 18. 13:22

벼의 발아와 모 생장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남정권 namjk725@rda.go.kr

  재배벼는 1년생 작물로 우리나라 기상조건에서 볍씨가 싹이 터 식물체로 생장발육하여 새로운 볍씨가 되기까지는 품종과 재배시기에 따라 120~180일 정도 걸린다. 벼의 일생은 유수분화기를 경계로 영양생장기와 생식생장기로 나뉜다.

 

 

 

그림 1. 벼의 일생


  영양생장기는 볍씨의 발아에서 유수형성기 직전까지로, 이 시기의 벼는 분얼을 하여 이삭수를 확보한다.

  생식생장기는 유수분화기에서 출수기를 거쳐 수확에 이르는 기간이다. 생식생장기에는 이삭의 분화, 발달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줄기 밑둥에 있는 상위 5~6마디의 마디사이가 빠른 신장을 하여 벼의 키가 결정된다. 유수의 형성은 출수 전 30~32일쯤 시작되어 1주일 정도 지나면 어린이삭이 1.0~1.5㎜ 정도 자란다.

  생식세포의 감수분열기는 출수 전 15일쯤 시작되어 열흘 정도 걸린다. 이 시기에는 배우자인 화분세포와 배낭세포가 형성되며, 조직세포가 분화하여 암술과 수술을 만들어 벼꽃이 생긴다. 또한 볍씨의 외영과 내영의 크기 및 영화수가 결정되고, 이삭이 발달한다.

  벼는 출수와 동시에 또는 그 다음날 벼꽃이 피며, 자가수분 후 4~5시간 안에 수정이 이루어진다. 한 논의 출수가 모두 끝나려면 2주일 정도 걸린다.

  벼의 등숙은 수정이 끝나면서부터 시작되며, 등숙기간은 온대지역에서 약 40~50일, 열대지역에서 약 30일 걸리며 온도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출처 : 벼육종재배과
글쓴이 : 나이레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