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급자족/노래 그림 중독, 삶의 예술

[스크랩] 음악 용어 및 음악 기호

모두 빛 2013. 9. 8. 22:16

 

연주 순서 표기법

 

1. 도돌이 : 구간 반복

2. 바로 앞의 한마디 반복

3. 바로 앞의 두마디 반복

4. 바로 앞의 네마디 반복

 

 

 

연주 순서

 

: 연주순서는 A - B - A - C 입니다.

도돌이 표시 사이를 구간 반복 하는데 첫번째 돌아갈때는 1. 번을 연주하고

다시 두번째로 올때에는 1. 번을 건너뛰고 2. 번을 대신 연주한다는 뜻입니다.

 

 

: 연주순서는 A - B - C - D - A - B 입니다.

D.C ( 다카포)는 곡의 처음으로 돌아간다는 뜻입니다.

그렇게 돌아갔다가 두번째로 올때 Fine 에서 끝내게 됩니다.

 

 

: 연주순서는 A - B - C - B - D 입니다.

D.S(달세뇨)는 표시가 있는 곳으로 돌아 가라는 뜻입니다.

그렇게 돌아갔다가 다시 두번째로 올때에 코다 를 만나면 TO 에서 Coda 까지 건너뛰게 됩니다.

 

 

: 연주순서는 A - B - B - B ..... 입니다.

Bis. 는 반복 마크로서 페이드 아웃이 되던지,

리더의 사인이 있을때까지 계속해서 반복하라는 뜻입니다.

 

 

 

그밖의 음악기호들입니다.

대부분 이런 기호를 무시한채 연주하는 경향이 많으나

실질적으로 드러밍의 강약과 느낌을 전달하는데 있어서

이 기호들은 절대 생략해서는 안됩니다.

 

 

 

셈여림표

 

 

 

셈여림표 : 음의 셈여림 정도를 변화시키는 표를 말한다.

 

 

pp

p

mp

mf

f

ff

원말

pianissimo

piano

mezzopiano

mezzoforte

forte

fortissimo

발음

피아니시모

피아노

메조피아노

메조포르테

포르테

포르테시모

매우여리게

여리게

조금여리게

조금세게

세게

매우세게

 

 

 

 

셈여림을 변화시키는 표

 

 

① 점점 세게 : crese.(크레센도) 또는 <

② 점점 여리게 : decrese.(데크레센도) 또는 dim.(디미누엔도), >

    ③ 그 음을 특히 세게 : sf, sfz, fz(스포르찬도) 또는 >.∨ .< (악센트)

④세게 곧 여리게 : fp(포르테 피아노)

 

빠르기말

 

 

빠르기말 : 악곡의 빠르기 정도를 나타내는 말.

 

 

 

 

 

빠르기표 : 악곡의 빠르기의 정도를 나타내는 표로

                   악곡 첫머리에 멜첼(J.N.Malzel)이 만든 메트로놈(Metronome)의

                   약자인 M.M.과 함께 ♩= 96으로 표시한다.

 

 

 

악곡 일부의 빠르기를 나타내는 말

 

 

rit.(리타르단도) : 점점 느리게

rall.(랄렌탄도) : 점점 느리게

accel.(아첼레란도) : 점점 빠르게

a tempo.(아 템포) : 본디 빠르기로

 

나타냄말

 

 

악곡의 표현을 나타내는 말로 악곡의 머리에 쓰인다.

 

 

원어

읽기

원어

읽기

Aanimato

아니마토

생기 있게

Comodo

코모도

쉽게

Amabile

아마빌레

사랑스럽게

Dolce

돌체

부드럽게

Appassionato

아파시오나토

정열적으로

Espressivo

에스프레시브

표정있게

Brillante

브릴란테

화려하게

Grazioso

그라지오소

우아하게

Cantabile

칸타빌레

노래하듯이

Maestoso

마에스토소

장엄하게

Con brio

콘 브리오

활기있게

Marcato

마르카토

똑똑하게 힘을주어

나타냄표

 

 

숨표( , ) : 가락의 도중에 잠깐 숨을 쉬라는 표

 

 

 

늘일표(  Fermata) : 음표나 쉼표 위에 있을 때에는 그 길이를

                  2~3배 길게늘이는 표이고 겹세로줄 위에 있을 때에는

                  악곡의 마침표로 사용된다.

 

 

테누토( -, ten, Tenuto ) : 음표의 길이를 충분히 연주

 

 

이음줄( slur ) : 높이다 다른 2개 이상의 음을 부드럽게 연주 연주

 

 

붙임줄( tie ) : 높이가 같은 2개의 음을 합하여 한 음같이 연주

 

 

스타카토(   , staccato) : 음을 짧게 끊어서 연주하라는 표

 

 

 

 

 

줄임표 : 같은 가락이 반복될 때 악곡을 줄여서 기보하는 표.

 

 

 

 

 

도돌이표 : 악곡의 한 부분을 두 번 되풀이할 때 사용한다.

 

D.C(다 카포) : 처음으로 돌아가서 겹세로줄 위의(  )나 Fine에서

                           마치라는 표이다.

 

 

D.S(달 세뇨) : (  )(세뇨)표로 돌아가서 겹세로줄 위의(  )나 Fine에서

                           마치라는 표이다.

 

 

 

 

 

 

 

 

 

   5도권

 

      으뜸음을 완전 5도씩 위로 옮기면 올림표가 한개씩 늘어나고,

     으뜸을을 완전 5도씩 아래로 옮기면, 내림표가 한개씩 늘어나서

     12개음 모두를 한바퀴 돌게 됩니다.

     이와같은 조성 관계를 원형의 표로 나타낸 것을 5도 권이라고 한다.

 

 

 

 

  

 

 

   위의 그림을 보고 간편하게 시계 형식의 그림조표를 보고

   완전 5도 즉 음정을 확실히 이해 한다면 어떤 코드인지 메이저인지 마이너인지

   그리고 조표 인지 임시표인지 구분이 가능할것임.

 

 

 

 

(초보)코드이론

 

코드에 관해서

1. 메이저 코드

 ***메이저 코드는 근음과 장3도 완전5도로 이루어진 코드이다.
      C코드를 예로 들자면 C(도:근음), E(미:장3도), G(솔:완전 5도)이다.




C - 도 미 솔

① ② ③
|---0---| |---0---| |---3---|
|---1---| |---1---| |---5---|
|---0---| |---0---| |---5---|
|---2---| |---2---| |---5---|
|---3---| |---3---| |---3---|
|---0---| |---3---| |---3---|

① 코드로 딩가 딩가 할때 쓰인다. 어디가 무슨음인지 외워보자.


② 1번의 원형이라고 알고 있다. 새끼 손가락으로 6번줄의 3을 짚어야 되는데
         귀찮다. 짚어주면 '솔'이지만 안짚어도 '미'다.


③ 하이코드다. 3플랫을 검지로 전부 바레 하고 나머지 손가락으로 5플랫들을 짚는다.
         C코드는 마이너로 만들려면 하이코드로 하는수밖에 없다.(풀코드로 한다 가정할때)



D - 레 파# 라

① ②
|---2---| |---5---|
|---3---| |---7---|
|---2---| |---7---|
|---0---| |---7---|
|---0---| |---5---|
|---X---| |---5---|

① 역시 코드로 딩가거릴때(스트로크 주법이라 한다.) 많이 쓰인다.

         6번줄은 건드리지 않도록 하며 왠만하면 5번줄도 치지 말자.


② 하이 코드다. C코드와 비교해 보자. C에서 2플랫씩 올라갔음을 알 수 있다. 뒤에
         나오는 하이 코드들을 비교해보면 그 법칙을 알 수 있을것이다.


E - 미 솔# 시

① ②
|---0---| |---7---|
|---0---| |---9---|
|---1---| |---9---|
|---2---| |---9---|
|---2---| |---7---|
|---0---| |---7---|

① 코드를 외울때 구성음을 생각하며 외우도록 하자.

      처음에는 그 모양대로 외울 수 밖에 없지만 언제까지고 그런 식이면 골아파진다.

      어느음이 루트인지 3도 인지 외 우도록 하자.

      보통 지 혼자 튀는 음이 코드의 성격을 결정짓는 3도 음이다.

      이 코 드의 경우에는 3번줄의 1플랫이다.

      손가락을 떼고 0으로 만들면 Em(E minor)가 된다.

 
② 원래 하이코드든 무슨 코드든 지 나름대로 만들 수 있는 가지수는 상당히 많다. 

F - 파 라 도

① ②
|---1---| |---8---|
|---1---| |---10--|
|---2---| |---10--|
|---3---| |---10--|
|---3---| |---8---|
|---1---| |---8---|

① F는 오픈코드가 없다. 약식으로 잡는 방법은 있지만 어쨌든 오픈코드가 없다.

       처음에 상당히 고생하는게 이 F코드 때문이다.

       낮은 플랫이라 손가락도 안 벌어지고 바레주법이 그리 쉬운것은 아니므로.

       그냥 열심히 지랄하다보면 요령이 생긴다.


② F코드의 다른 방식의 하이코드.

G - 솔 시 레

① ② ③
|---3---| |---3---| |---3---|
|---0---| |---3---| |---3---|
|---0---| |---0---| |---4---|
|---0---| |---0---| |---5---|
|---2---| |---2---| |---5---|
|---3---| |---3---| |---3---|

① 익히 알고 있는 G의 오픈 코드이다. 잡기도 편하고 듣기도 좋다.


② 1번 코드와의 차이점에 주목하자.

        2번줄이 개방현에서 3플랫을 짚어주는 것으로 바뀌어 있다.

        둘 다 구성음의 차이는 없다. 단지 느낌의 차이이다.

        참고로 난 2번 을 더 즐기는 편이다.

        Skid row의 I remember you의 주된 코드폼이었다.


③ G의 하이코드이다. 마이너 코드로 만들려면 꼭 필요하다.

       F코드 와의 연관관계를 살펴보자. F코드의 ①번 코드에서 2플랫 올라와있다.

       이런식으로 올라가는 하이 코드 진행도 있다.


A - 라 도# 미

① ②
|---0---| |---5---|
|---2---| |---5---|
|---2---| |---6---|
|---2---| |---7---|
|---0---| |---7---|
|---0---| |---5---|

① A코드이다. 특이하게도 A,D,E는 오픈코드에서도 마이너를 만들 수 있다.

       다 만들 수 있지만 C만 안된다. C가 특이한 것이다.

       C도 억지로 만들순 있지만 풀코드를 잡으려 하면 손가락이 안따라준다.


② G의 ③번 코드에서 2플랫 올라간것이다. 외워 두도록 하자.


B - 시 레# 파#

① ②
|---2---| |---7---|
|---4---| |---7---|
|---4---| |---8---|
|---4---| |---9---|
|---2---| |---9---|
|---2---| |---7---|

① B도 풀로는 오픈 코드를 만들수 없는 코드이다.

      F보다는 잡기가 편한게 그나마 다행이다.


② B의 다른 방식 하이코드.




2. 마이너 코드

마이너 코드는 근음, 단3도, 완전5도로 구성된 코드이다.
Cm를 예로 들자면 C(근음), Eb(단3도=D#), G(완전5도)이다.
메이저가 밝은 느낌을 주는 반면 마이너는 슬프고 어두운 느낌을 준다.


C - 도 미b(=레#) 솔


|---3---| 많이 뽑을수도 있지만 구찮아서 하나만 한다.
|---4---| 위에 나왔던 C의 하이코드와 비교해보자.
|---5---| 원래 5플랫이었던 2번줄이 4플랫으로 바뀐걸 볼 수 있다.
|---5---| 그 부분이 장3도 였던 것이다.
|---3---| 오픈코드에서 왜 마이너가 안되냐 하면 오픈코드에서는 1번과 6번의
|---3---| 개방현이 '미'인데 거기서는 더 내릴수가 없기때문이다. 드롭 튜닝을 한다면 모를까..

                 얼마나 드롭해야 할까.


D - 레 파 라

① ②
|---1---| |---5---|
|---3---| |---6---|
|---2---| |---7---|
|---0---| |---7---|
|---0---| |---5---|
|---X---| |---5---|


E - 미 솔 시

① ②
|---0---| |---7---|
|---0---| |---8---|
|---0---| |---9---|
|---2---| |---9---|
|---2---| |---7---|
|---0---| |---7---|



F - 파 라b=솔# 도

① ②
|---1---| |---8---|
|---1---| |---9---|
|---1---| |---10--|
|---3---| |---10--|
|---3---| |---8---|
|---1---| |---8---|


G - 솔 시b=라# 레


|---3---|
|---3---|
|---3---|
|---5---|
|---5---|
|---3---|


A - 라 도 미

① ②
|---0---| |---5---|
|---1---| |---5---|
|---2---| |---5---|
|---2---| |---7---|
|---0---| |---7---|
|---0---| |---5---|


B - 시 레 파#

① ②
|---2---| |---7---|
|---3---| |---7---|
|---4---| |---7---|
|---4---| |---9---|
|---2---| |---9---|
|---2---| |---7---|



3. 7th 코드


보통 코드에다가 근음에서부터 장7도의 관계에 있는 음을 추가하는 것이다.
C코드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CM7 or Cmaj7 이라 표기하고 구성음은
도(근음), 미(장3도), 솔(완전5도), 라(장7도)이다.


그냥 C7이라고 하면 단7도 음을 추가하는 도미넌트 세븐스라고 한다.


C7 - 도 미 솔 시


|---3---| 
|---5---| 
|---3---| 
|---5---|
|---3---|
|---3---|


D7 - 레 파# 라 도


|---2---|
|---1---|
|---2---|
|---0---|
|---0---|
|---X---|



E7 - 미 솔# 시 레


|---0---|
|---0---|
|---1---|
|---0---|
|---2---|
|---0---|



F7 - 파 라 도 미


|---0---|
|---1---|
|---2---|
|---3---|
|---0---|
|---0---|


G7 - 솔 시 레 파


|---1---| |---3---|
|---0---| |---3---|
|---0---| |---4---|
|---0---| |---3---|
|---2---| |---5---|
|---3---| |---3---|


A7 - 라 도# 미 솔


|---0---| |---5---|
|---2---| |---5---|
|---0---| |---6---|
|---2---| |---5---|
|---0---| |---7---|
|---0---| |---5---|


B7 - 시 레# 파# 라


|---2---| |---2---|
|---0---| |---4---|
|---2---| |---2---|
|---1---| |---4---|
|---2---| |---2---|
|---X---| |---X---|

 

 

여기부터 고급입니다

 

(기본이론)

 

이번 강좌부터는 이론을 다루므로 강의하듯이 딱딱하고 지루할 수도 있겠습니다.

하지만, 노래책을 붙들고 아무리 오랫동안 노래를 불러온 사람도 해결하지 못하는 것이 있습니다. 바로 이러한 문제들을 여기서부터 해결해 나가겠습니다.
이론을 알지 못하면 당면하는 어려움이 많습니다.노래책이 없으면 노래를 못 부르거나,

코드가 조금만 어려워도 그 노래는 피해가는 사람,하이포지션은 아예 잡아볼 엄두도 못내는 등등 몇년을 기타를 치고도 초보수준을 면치 못하신 분들은 이루 셀 수 없이 많습니다.

부족함이 많은 강좌이지만 끝까지 읽어 주십시오.분명히 무언가 얻는바가 클 것입니다.

 

음 이름

 

"도,레,미,파,솔,라,시,도"를 우리말로는 어떻게 부릅니까?
"다,라,마,바,사,가,나,다"입니다. 그러나 통기타에선 우리말 음이름은 중요하지 않습니다.그러면 영어 음이름으로는 어떻게 부르는지 아십니까?
"C,D,E,F,G,A,B,C"입니다. 이것이 중요합니다. 전혀 생소한 분들도 많으실 겁니다.
도-C, 레-D, 미-E, 파-F, 솔-G, 라-A, 시-B, 도-C 이런 관계에 있습니다.
다음 그림22의 계명과 영어 음이름의 관계를 잘보면서 C,D,E,F,G,A,B,C를 수십번 되뇌이면서 암기하십시오.지금 바로!!!



모든 통기타 이론의 열쇠는 바로 C,D,E,F,G,A,B,C 에있습니다. 확실하게 암기하세요.

 

기타에서의 온음과 반음

 

"도,레,미,파,솔,라,시,도"에는 온음과 반음이 있습니다.
"미,파"와 "시,도"는 반음 사이이고, 나머지는 온음 사이입니다.다음 그림23을 보십시오.



기타에서 음을 구분하는 쇠막대기(프렛)는 온음은 2칸 반음은 1칸의 간격이 됩니다.

가령, 1번선 개방현은 "미"입니다.그러면 "파"는 어디를 누릅니까?

첫째칸이 "파"가 되겠죠?(미,파는 반음 사이니까)

그다음"솔"은 2칸더가서 3번째칸이 될것이고(온음사이니까),

"라"는 다섯째칸이 될것이고,"시"는 일곱째 칸이 될 것이고

"도"는 여덟째 칸이 될 것입니다 (시,도는 또 반음 사이니까)

이런식으로 모든줄의 모든 계명을 찾을수 있겠죠?

다음 그림 23-1을 보세요.그래도 이해가 안가시면 주위분들에게 물어보세요.


코드이름의 의미

 

코드의 종류는 코드사전이 있을 정도로 많습니다만 여기서는 가장 흔히 사용되는

협화음인 장조,단조,7th(쎄븐스 코드) 세가지만 다루겠습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평소 "C코드"라고 하는것은 어떤 뜻일까요?
우선 코드(chord)란 말은 "화음"이란 뜻입니다.

그러면 C코드란말은 "C를 으뜸음으로 하는 장조화음"을 의미합니다.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구요?
C는 "도"를 말하는 것이지요.그럼, "도"를 으뜸음으로 해서 3도씩 음을 2개를 쌓아 보세요.

"도,미,솔"이 됩니다.그림24를 보세요.음정은 자기자신부터 1도가 됩니다.

 

 

이제 C코드를 누르시고 그 안에 어떤 계명들이 들어 있는지 보십시오.

모두 "도,미,솔"밖에 없습니다.도,미,솔이 아닌 계명이 들어 있으면 C코드가 아닙니다.

 

그러면 Am은 무슨의미일까요?
소문자 "m"은 minor의 약자 즉, "단조"의 뜻입니다.

Am은 화음이 좀 어둡지요? Am은 "A를 으뜸음으로 하는 단조화음"입니다.

그림24를 보세요."라,도,미" 세 개의 계명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G7은 무슨 의미일까요?
"G를 으뜸음으로 하는 7th 화음"입니다. G코드의 "솔,시,레" 에다가 3도로 한음 더 첨가시켜 "파"까지 포함된 화음으로 7th의 뜻은 제일밑에 "솔' 부터 맨위의 "파"까지가 7도사이가 된다는 뜻입니다.그림24를 보십시오.

복잡하고 어렵지요?

잘 이해가 안되면 이해가 될 때까지 반복해 읽어보거나,주위의 도움을 받으십시오.

어쨌든 C,D,E,F,G,A,B,C를 다시 외우면서 step9에서부터 활용해 보겠습니다.

출처 : 입시 반주 피아노 레슨 합니다^^*
글쓴이 : 사랑스런 여인 원글보기
메모 :